본문 바로가기

좋은 의미를 지닌 것들

십장생인데 12개라고? 한국 십장생의 종류와 상징

반응형

 

안녕하세요:) 메종드앙크의 나인입니다. 오늘은 십장생에 대한 것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나인타투

십장생의 의미는 한국의 토착 사상인 신선사상을 의미합니다. 이는 내세의 집착을 너머 진리를 향하는 도교의 최고 가치입니다. 전설에 따르면 가장 높은 형태의 깨달음을 얻었을 때, 인간의 시간을 초월하여 자연과 조화를 이루고 건강한 삶을 누리게 된다는 한국 문화의 이상을 담고 있습니다.

 

 

목차

  • 1. 십장생의 의미
  • 2. 종류 및 상징

1. 십장생이란?

 

십장생도, 1880년, 10폭 병풍, 견본채색, 201.9×521.0㎝, 미국 오리건대학교박물관

 

 

십장생 (十長生)은 열(十) 가지 오래(長) 사는(生) 것들을 한데 이르는 말입니다. 무병장수의 의미를 담고 있으며 장생 불사한다는 열 가지 사물을 나타낸 장식 무늬는 병풍, 금속공예, 인테리어 등 생활 속에 긴밀하게 활용되었던 사랑받는 주제입니다.

 

소나무와 불로초(영지버섯), 거북, 학, 사슴 들은 장수의 염원을 담은 상징물입니다. 십장생은 실제로 10가지가 아닌 12가지를 사용하며 대나무, 복숭아가 추가됩니다. 때에 따라 다른 주제를 매치하기도 합니다. 

 

10가지의 상징물은 저마다의 의미가 있습니다. 그중 사슴은 수명이 10년 내외로 인간에 비해 짧은 편이지만 신령의 수호자로 선령의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이를 제외한 나머지 9가지는 실제 인간의 수명보다 장수하는 물상들을 담았습니다.

 

 태양의 존재는 은하계의 시작과 함께하며 소나무와 학, 거북은 종류와 상황에 따라 80년 ~ 100년 이상까지 살기 때문에 인간 기준으로 상당히 오래 사는 생물들입니다. 

 

또한 10 십 (十)이라는 숫자에도 뜻을 담고 있습니다. 동양의 관념으로 모든 수를 갖추는 기본이자 동서를 나타내는 一(1)과 위아래를 잇는다는 뜻의丨(뚫을 곤)이 합쳐진 것으로 사방과 중앙이 다 갖추어져 온전한 중심을 갖춤을 뜻하고 이는 상서로움을 담고 있습니다.

 

십장생을 주제로 표현한 그림을 ‘십장생도’라고 합니다. 그려지는 영물의 가짓수가 변동적이기 때문에 ‘장생도'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2. 십장생의 종류 및 상징

 

1. 해(日)

태양을 상징하는 해는 끊임없이 변화하는 달과 달리 빛의 근원으로서 만물의 기원이기도 합니다.

 

2. 물(水)

유연성을 상징하는 물은 강, 파도, 폭포 등의 움직이는 형태로 표현됩니다. 물은 특유의 유연한 물성으로 악함을 피해 가거나 극복할 수 있는 무한한 가능성을 상징합니다. 

또한 다양한 속성을 갖는 물은 인간성을 의미하기도 하며 깨끗한 물은 맑고 청아함으로 인간성의 깨끗함을 표현하기도 합니다.

 

3. 돌(石)

돌은 보통 광물, 보석으로도 표현합니다. 오랜 세월 변하지 않는 돌은 가장 단단하며 오랜 시간을 견뎌 생성된 자연물로서 굳은 의지, 고집, 남성성을 상징합니다.

 

4. 산(山)

돌의 확장된 의미로 태산의 존재는 그 자체로 영원함과 변함없는 형태이며 영원성을 상징합니다. 산은 신선의 나라, 이상향 등으로 영생을 누리는 인격체로도 여겼습니다. 

산을 5개의 봉우리로 표현한 오봉은 인, 의, 예, 지, 신을 나타내기도 합니다. 또한 동, 서, 남, 북, 중앙이라는 다섯 방향을 표현하기도 합니다.

 

5. 구름(雲)

구름은 물이 하늘에서 발현된 모습입니다. 구름은 자유자재로 형태를 바꾸며 자유로이 하늘을 표류합니다. 이는 이상향의 징표이자 세속을 떠나 초월의 경지에 오른 것을 나타냅니다. 구름 중에서 특히 오색으로 표현된 채운은 거룩한 것의 출현을 알리기도 합니다. 주로 실타래처럼 길고 둥근 모양으로 수평적으로 나열되는데 이러한 표현기법은 안정감을 주기도 합니다. 이는 구름이 가진 상서로운 기운을 담아 표현한 것입니다.



6. 소나무(松)

소나무는 100년 이상의 기간을 살아가는 존재로 겨울에도 상록수를 유지하며 어떠한 생태환경에서도 굳건히 살아남는 존재입니다. 가장 널리 사용되는 장수의 상징물이기도 합니다. 활력과 귀족의 위엄을 나타내기도 하며 특히 적송(붉은 소나무)은 모든 식물의 왕이라 표현하기도 합니다. 

 

소나무는 松(소나무 송)이라고 쓰는데 이의 소리를 빌려 頌(칭송하다 송)의 뜻을 나타내기도 합니다. 소나무와 불로초를 함께 그리면 "송(松)=신년(新年)" "불로초(不老草)=여의(如意:그렇게 되다)"가 되어 신년여의(新年如意), 즉 "새해를 맞아 생각하는 대로 되다"라는 뜻을 표현하게 됩니다.



7. 불로초(不老草)

도교에서는 불로초를 “불멸의 땅에서 자라는 존재"로 여겼습니다. 때문에 이것을 먹게 되면 영생을 가져다준다고 믿었습니다 또한 일 년에 3번 피어는 이 꽃을 먹으면 불로 장생한다는 믿음이 있었습니다. 주로 영지버섯의 형태로 그려냅니다.



8. 거북(龜)

수세기를 살아가는 거북이는 영년 불사하는 장수의 상징이며 힘과 인내, 하늘과 땅의 조화를 의미합니다. 특히 거북이 등껍질의 무늬는 귀갑문이라고 부르며 장수의 상징을 담은 장식적인 요소로도 쓰였으며 고대 점술에 활용되기도 하였습니다.

주로 입에서 혀나 물을 뿜어내는 모습으로 표현하는데 이는 성스러운 기운을 뿜어낸다는 뜻을 담고 있습니다. 

 

2마리의 거북을 그려내면 부부의 화합과 해로를 의미하며 연밥이 달린 연꽃과 함께 그려낸 연생귀자도는 연달아 귀한 자식을 많이 낳는다는 다산의 기원을 담기도 합니다. 

 

또한 거북은 봉황, 용, 기린과 함께 4종의 신령 중 하나로 거북은 북쪽을 수호하는 사방신입니다. 신구는 거북을 신격화한 것으로 3천 년을 산다고 하며 용의 머리에 등껍질은 하늘의 지붕으로 별자리를 담고 있으며 배의 껍질은 땅을 나타냅니다.



9. 학(鶴)

가장 상서로운 새 중 하나인 학은 동양뿐 아니라 서양권에서도 행운의 새로 여겼으며 신비롭고 영적인 존재로 여겼습니다. 다른 새들과는 달리 고요하고 외진 곳에서 은둔하여 신비로운 현자의 이미지를 갖기도 합니다. 

 

도교에서는 불멸의 동반자로서 하늘과 소통하는 메신저이자 정절, 선비의 품위를 나타내기도 하였습니다. 또한 얇은 다리로 몸을 꼿꼿이 세워 고고하게 있는 모습은 생활력을 표현하기도 합니다.

 

10. 사슴(鹿)

미려한 외형에 온순한 성정으로 영적인 동물로 여겨진 사슴은 우애와 장수를 뜻하며 신령의 정령으로 여기며 선록이라 불렸습니다. 실제 장수를 하는 것은 아니나 서식하는 환경의 특성상 쉽게 다가갈 수 없으며 멀리서 바라만 보는 특성이 신선에 대한 인식과 일치하였습니다. 신비로운 존재로서 신선의 반려 정령으로 상징성을 갖게 되었습니다.

 

사슴 문양은 높은 벼슬을 얻어 조정에 복귀한다는 의미도 갖고 있습니다. 사슴은 중국식 발음으로 ‘녹(鹿)’이 관리의 봉급을 뜻하는 ‘녹(祿)’과 같다는 이유에서 높은 관직에 오르는 것을 상징하는 동물로 인식되기도 합니다.

 

11. 대나무

대나무는 죽이라고도 부릅니다. 유난히 빨리 자라는 대나무는 겨울에도 눈 속에서 녹색을 유지합니다. 이는 비옥한 활력과 지구력의 상징으로 장수를 뜻합니다. 또한 바람이 불어도 휘어질지언정 부러지지 않는 모습은 융통성 있는 사대부의 미덕을 상징하기도 하였습니다. 

 

12. 복숭아

중국 도교에서 비롯된 영적 불멸의 상징으로 신라의 수도였던 경주의 서쪽에 성스러운 산이 있었으며 이는 여성의 영혼이 국가의 수호자이자(서왕모) 불교의 은인으로 여겨 선도산이라 하였습니다. ‘선도(불멸의 복숭아)’를 먹으면 영생하며 도교의 현자가 된다고 믿었습니다.

삼신으로 표현되기도 하는 장수의 신은 큰 복숭아와 함께 묘사되기도 합니다. 


 

 


나인타투 오픈채팅

 

반응형